본문 바로가기
사회 및 경제

2025년 6월 기업심리지수·경제심리지수 발표: 제조업·비제조업 경기전망 총정리

by 독학게하자 2025. 6. 30.
반응형

 

📊 2025년 6월 기업심리지수·경제심리지수 발표

제조업·비제조업 경기 체감 및 전망 종합 분석

🔎 기업심리지수(CBSI)란?

CBSI(Composite Business Sentiment Index)는 기업의 체감경기를 종합적으로 수치화한 지표로,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주요 항목(BSI)을 표준화하여 산출합니다.

  • 기준값은 100이며, 이보다 높으면 낙관적, 낮으면 비관적으로 해석합니다.

✅ 2025년 6월 CBSI 동향 요약

구분 6월 실적 전월 대비 7월 전망 전월 대비
전체 기업 90.2 ▼0.5p 89.4 ▼0.1p
제조업 94.4 ▼0.3p 93.4 ▲0.3p
비제조업 87.4 ▼0.7p 86.7 ▼0.4p
 

📌 기업 심리는 전체적으로 비관적 국면 지속, 특히 비제조업의 하락세가 뚜렷합니다.

🏭 제조업 CBSI 상세 분석

🔹 업황 및 수요 동향

  • 업황 BSI: 70 (▼3p), 7월 전망 70 (▼1p)
  • 생산 BSI: 83 (▼1p)
  • 매출 BSI: 78 (▼3p)
  • 신규수주 BSI: 79 (▲2p)

🔸 생산과 매출 모두 둔화, 다만 신규 수주는 개선되어 일부 긍정 신호 존재

🔹 투자 및 재고

  • 제품재고 BSI: 102 (▼1p) → 재고 과잉 위험 증가
  • 설비투자 실행 BSI: 92 (▼1p) → 투자 확대 소극적

🔹 수익성 및 유동성

  • 채산성 BSI: 78 (▼2p)
  • 자금사정 BSI: 80 (▼1p), 7월 전망은 81 (▲1p)

⚠ 제조업 주요 경영 애로사항 (2025년 6월 기준)

항목 비중(%) 증감
내수부진 29.2% ▲3.2p
불확실한 경제상황 22.8% ▼2.8p
수출부진 9.9% ▲0.9p
 

📌 내수 침체가 기업에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

🏢 비제조업 CBSI 상세 분석

🔹 체감경기 변화

  • 업황 BSI: 67 (▲1p), 7월 전망 동일
  • 매출 BSI: 73 (▼2p)
  • 채산성 BSI: 77 (▼1p)
  • 자금사정 BSI: 78 (변동 없음)

🔸 서비스, 건설, 운수창고 업종은 소폭 개선
🔸 다만 숙박, 부동산, 도소매 업종은 수익성 악화

⚠ 비제조업 주요 경영 애로사항

항목 비중(%) 증감
내수부진 25.2% ▲1.2p
경제 불확실성 18.4% ▼1.6p
인건비 상승·인력난 12.1% ▼0.6p
 

📌 내수부진과 고정비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

📈 경제심리지수(ESI) 동향

구분 6월 전월 대비 순환변동치 변화
ESI 92.8 ▲0.6p 89.3 ▲0.2p
 

ESI(Economic Sentiment Index)는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결합한 민간 경제심리 지표입니다.

  • 기준선 100 미달로, 전체적으로 비관적 심리 유지
  • 다만 가계소득·소비전망 개선이 일부 긍정 반영

🧭 전문가 해석 및 정책 시사점

  1. 기업심리 둔화 지속
    • 수출 부진과 내수 침체가 동반
    • 특히 비제조업의 수익성과 매출 둔화가 문제
  2. 소비자 심리 일부 회복
    • 소비지출·소득에 대한 기대가 반영
    • 그러나 아직 회복세는 제한적
  3. 정책 제언
    • 내수 활성화 유도 및 기업 투자 인센티브 확대
    • 비제조업 자영업자 대상 자금 지원고용환경 안정 정책 병행 필요

🔗 참고자료

2025.06.24 - [국제 정보] - 2025 일본은행 국채매입 축소 중간점검 발표…장기금리 영향과 시장 반응 총정리

 

2025 일본은행 국채매입 축소 중간점검 발표…장기금리 영향과 시장 반응 총정리

2025 일본은행 국채매입 축소 중간점검 발표장기금리 향방과 금융시장 반응, 핵심 포인트 정리2025년 6월, 일본은행(BOJ)은 장기국채 매입 축소 계획에 대한 중간점검 결과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23 - [국제 정보] - 🌍 2025 영국-미국 무역협정 체결로 자동차·항공 관세 인하, 농산물 시장 개방까지 변화 총정리

 

🌍 2025 영국-미국 무역협정 체결로 자동차·항공 관세 인하, 농산물 시장 개방까지 변화 총정리

2025년 6월 16일, 캐나다 카나나스키스(Kananaskis)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현장에서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간 무역협정의 공식 시행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

ehrgkrpgkwk88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