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16일, 캐나다 카나나스키스(Kananaskis)에서 열린 G7 정상회의 현장에서 영국의 키어 스타머 총리와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양국 간 무역협정의 공식 시행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는 지난 5월 합의된 내용을 세부 협상으로 구체화한 결과로, 양국의 경제 전략이 반영된 고도화된 무역협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협정은 단순한 관세 인하를 넘어, 공급망 보안 요건, 정치적 상징성, 조건부 시장 접근 등을 포함해 글로벌 통상 질서 변화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 핵심 협정 내용 정리
🚘 1. 자동차 산업: 고율 관세 인하로 수출 경쟁력 강화
- 영국산 자동차에 부과되던 27.5% 관세 → 10%로 인하 (연간 10만 대 한정)
- 영국은 미국과 자동차 산업에 대해 독자적 관세 협정을 체결한 유일한 국가
- 영국자동차산업협회(SMMT): “이번 조치로 수익성 개선과 고용 안정 기대”
📌 해설: 전기차 포함한 완성차 수출 확대 기반 확보로 브렉시트 이후 전략 보완 효과
✈ 2. 항공우주 산업: 미국 안보 관세 대상 제외
- 미국의 안보 조치 대상 중 영국산 항공기 엔진 및 부품 약 40억 달러 규모는 관세 10% 면제
- 롤스로이스(Rolls-Royce) 등 기업 경쟁력 강화
- NYT: “영국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확보하고,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기여”
📌 해설: 기술 우방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현실화되고 있음
🛠 3. 철강·알루미늄: 협상 지연, 중국계 자본 구조가 변수
- 미국은 기존 25% 고율 관세 유지, 협상 지연
- 영국의 British Steel이 중국 Jingye Group 소유라는 점이 협상 난항 요인
- 미국은 **“용융·주조 공정이 자국 내 이뤄질 것”**을 요구하며 공급망 보안 기준 강화
📌 해설: 안보와 통상 정책이 결합되며, 통상장벽의 성격이 더욱 복합적으로 전환
🥩 4. 미국 농산물·에너지 수출 확대: 영국 시장 개방 확보
- 영국은 미국산 소고기(20%)·에탄올(19%) 관세 철폐
- 수입 쿼터: 소고기 13,000톤, 에탄올 14억 리터
- 영국 의회에 수입 쿼터 운용계획 제출 예정
📌 해설: 미국은 내수 과잉 문제 완화와 함께 식량안보 차원의 전략 수출국 확보
📰 현지 언론과 시장 반응
언론 | 평가 요약 |
뉴욕타임즈(NYT) | 영국은 산업 보호, 미국은 정치적 상징성 확보 |
블룸버그(Bloomberg) | 수백억 원 규모의 비용 절감 및 공급망 안정 |
가디언(The Guardian) | 트럼프 발언(“내가 영국을 좋아하니 보호받는다”)을 통해 우방국 우대 외교 강조 |
파이낸셜타임즈(FT) | 철강 협상의 지연은 공급망 조건 강화와 관련 |
📊 국제 경제 시사점
- 산업 맞춤형 무역협정의 부상
- 기존의 전면적 FTA보다 산업별·조건부 시장 접근 중심의 전략 부상
- 공급망 기준이 새로운 무역장벽
- “생산공정 내 국가 내 제조 요건”은 향후 무역정책의 핵심 이슈
- 정치적 요인이 통상정책에 미치는 영향 확대
-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정책 결정의 상징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보여줌
- 한국을 포함한 제3국에 대한 함의
- 미국과의 미래 협상 시, 공급망 관리·안보·지분 구조 등 복합 고려 필요
- 특히 철강, 반도체, 자동차 부문은 전략적 사전 대응 필요
✅ 결론: 2025 영·미 무역협정은 글로벌 통상 지형의 변곡점
이번 협정은 산업별 맞춤형 접근, 우방국 중심 공급망 전략, 통상정책의 정치화 등 향후 국제 무역의 주요 트렌드가 압축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관세 인하에 그치지 않고, 국가 간 신뢰 기반 공급망 협력 모델로 진화한 점에서 전략적 의미가 큽니다.
앞으로 한국을 포함한 주요 무역국들은 산업별 전략 수립과 함께, 공급망 기준 대응체계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2025.06.18 - [국제 정보] - 🌐 2025 IMD 국가경쟁력 순위 발표: 한국 27위, 기업경쟁력·인프라 왜 무너졌나?
🌐 2025 IMD 국가경쟁력 순위 발표: 한국 27위, 기업경쟁력·인프라 왜 무너졌나?
2025년 6월 17일, 스위스 로잔의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세계경쟁력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에서 한국은 69개국 중 27위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계단 하락했습니다.2024년에는 역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19 - [국제 정보] - 📌 2025 일본은행 금리 동결·국채매입 축소 결정 분석|물가 전망과 시장 영향 정리
📌 2025 일본은행 금리 동결·국채매입 축소 결정 분석|물가 전망과 시장 영향 정리
2025년 6월 17일, 일본은행(BOJ)은 정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장기국채 매입 감축 계획을 조정하는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고물가 상황 속에서의 신중한 긴축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17 - [국제 정보] - 🌍2025년 5월 국제금융시장 환율·금리 동향 총정리|원화 강세·외국인 자금 유입 분석
🌍2025년 5월 국제금융시장 환율·금리 동향 총정리|원화 강세·외국인 자금 유입 분석
🌍 2025년 5월 국제금융시장 동향 총정리환율 하락·금리 상승 속 원화 강세와 외국인 자금 유입 본격화2025년 5월 이후 세계 금융시장에서는 미·중 무역협상 진전, AI 기술주 호조, 미국 재정 우려
ehrgkrpgkwk888.tistory.com
'국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영란은행 금리 동결 배경과 8월 금리 인하 가능성 분석 (3) | 2025.06.28 |
---|---|
2025 일본은행 국채매입 축소 중간점검 발표…장기금리 영향과 시장 반응 총정리 (6) | 2025.06.27 |
2025년 6월 FOMC 회의 결과 총정리|금리 동결, 인플레이션 전망 상향…시장과 연준의 긴장감 (2) | 2025.06.25 |
📘 2025년 6월 FOMC 회의 결과 총정리: 기준금리 동결, 물가 상승과 연준의 금리 인하 시사 (4) | 2025.06.24 |
🌍 2025년 6월 영란은행 기준금리 동결 배경과 8월 금리 인하 가능성 분석 (4)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