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정보

🌐 2025 IMD 국가경쟁력 순위 발표: 한국 27위, 기업경쟁력·인프라 왜 무너졌나?

by 독학게하자 2025. 6. 21.
반응형

2025년 6월 17일, 스위스 로잔의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세계경쟁력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에서 한국은 69개국 중 27위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계단 하락했습니다.

2024년에는 역대 최고 순위인 20위를 달성했지만, 1년 만에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며 기업경쟁력과 인프라 부문에서 뚜렷한 약점을 드러냈습니다.

이 글에서는 IMD의 국가경쟁력 평가가 무엇인지, 한국의 순위 하락 원인과 시사점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 IMD 국가경쟁력 평가란?

IMD는 전 세계 국가의 경제, 정부, 기업, 인프라 측면에서 경쟁력을 평가하여 순위를 매기는 권위 있는 국제기구입니다.
2025년 평가에서는 337개 세부지표(통계 165개 + 설문 92개 + 보조지표 80개)를 바탕으로 69개국을 평가했습니다.

  • 목표: 국가 및 기업의 부 증진과 삶의 질 향상 능력 평가
  • 평가 분야:
    ① 경제성과
    ② 정부 효율성
    ③ 기업 효율성
    ④ 인프라

🇰🇷 한국의 2025년 순위 분석

구분 2024년 2025년 변동
종합 순위 20위 27위 ▼7단계
경제성과 16위 11위 ▲5단계
정부효율성 39위 31위 ▲8단계
기업효율성 23위 44위 ▼21단계
인프라 11위 21위 ▼10단계
 

✅ 경제성과와 정부효율성은 개선됐지만,
❌ 기업효율성과 인프라는 크게 하락하며 전체 순위를 끌어내림.

🔍 상세 분석: 한국 순위 하락의 핵심 원인

❌ 1. 기업 효율성 급락 (▼21)

  • 경영 민첩성: 9위 → 46위 (▼37)
  • 기회·위협 대응: 17위 → 52위
  • 고객 만족도 반영: 3위 → 40위
  • 인재 유치력: 6위 → 29위
  • 수습제도 운영력: 11위 → 36위

디지털 전환 능력 저하, 민첩한 대응 부족, 조직문화 정체 현상 등이 주요 원인

❌ 2. 인프라 경쟁력 하락 (▼10)

  • 도시관리 효율성: 4위 → 28위
  • 디지털 인력 채용: 28위 → 59위
  • 사이버보안: 20위 → 40위
  • 초중등 교육: 31위 → 49위
  • 대학 교육: 46위 → 58위

기술 인프라와 교육 시스템 전반의 경쟁력 약화가 순위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

✅ 개선된 부분은?

1. 경제성과 (▲5)

  • 수출 증가율: 44위 → 10위
  • 서비스 수출: 62위 → 19위
  • 물가 안정: 휘발유 가격 개선, CPI 안정

2. 정부효율성 (▲8)

  • 재정 신뢰도: 탈세 인식 개선 (65위 → 30위)
  • 연금 제도 신뢰도 상승
  • 법인세·소득세 경쟁력 회복

→ 정부 재정·세제 구조 개선과 글로벌 무역 확대가 주요 상승 요인

🌍 주요 경쟁국과의 비교 (2025년)

순위 국가 특징
1위 스위스 지속적 기술혁신, 안정적 제도
2위 싱가포르 첨단산업 중심, 교육 경쟁력
3위 홍콩 무역·금융 자유도 강점
13위 미국 기술·자본력 중심
16위 중국 제조·수출 경쟁력 지속 상승
27위 한국 기업 및 인프라 부문에서 하락

 

🧭 종합 평가 및 시사점

한국은 무역 및 재정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기업의 경영 효율성, 디지털 민첩성, 인재 유입력, 교육의 질 등에서 뚜렷한 약점을 드러냈습니다.

시사점:

  1.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조직문화 혁신 필요
  2. 글로벌 인재 유치 위한 노동시장 개혁
  3. 교육 인프라에 대한 국가적 투자 확대
  4. 기초기술, 사이버보안 등 미래 인프라 확보 필수

2025.06.15 - [사회 및 경제] - 2025년 6월 최근 경제동향 완벽 분석|반도체 수출 증가와 고용 둔화의 교차점

 

2025년 6월 최근 경제동향 완벽 분석|반도체 수출 증가와 고용 둔화의 교차점

📊 2025년 6월 경제동향 분석|반도체 회복은 긍정, 소비·고용 둔화는 경고등2025년 6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의 실물지표와 흐름을 상세히 들여다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14 - [국제 정보] - 미국 2025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금리 인하 기대 확대와 금융시장 반응 정리

 

미국 2025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금리 인하 기대 확대와 금융시장 반응 정리

2025년 6월 11일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되었습니다. 특히 주거비 외 근원 서비스 물가가 둔화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14 - [국제 정보] - 2025년 5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분석: 원/달러 환율 하락과 외국인 자금 유입 배경은?

 

2025년 5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분석: 원/달러 환율 하락과 외국인 자금 유입 배경은?

🌐 2025년 5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정밀 분석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가 뚜렷해지면서 2025년 5월 이후 국제금융 및 외환시장은 뚜렷한 방향성을 나타내고 있

ehrgkrpgkwk88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