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정보

미국 2025년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금리 인하 기대 확대와 금융시장 반응 정리

by 독학게하자 2025. 6. 17.
반응형

2025년 6월 11일 발표된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 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소 완화되었습니다. 특히 주거비 외 근원 서비스 물가가 둔화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확대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미국의 물가 동향과 함께 주요 투자은행 분석, 금융시장 반응까지 체계적으로 소개합니다.

📌 2025년 5월 미국 소비자물가(CPI) 주요 지표

구분 전년동월비 전월대비(SA 기준) 시장 예상치
Headline CPI ▲ 2.4% ▲ 0.1% 2.4% / 0.2%
Core CPI (식품·에너지 제외) ▲ 2.8% ▲ 0.1% 2.9% / 0.3%
 
  • 전년동월 기준으로는 상승세 지속, 다만 전월대비 기준으로는 상승폭 둔화
  • 전반적인 서비스 물가 상승 둔화가 핵심 요인
  • 주거비 제외 서비스물가(Supercore) 전월대비 0.06%로 하락 전환

🔍 물가 구성 항목별 변화 상세 분석

항목 전월대비(%) 주요 내용
식품 ▲ 0.3 전월 -0.1%에서 반등
에너지 ▼ -1.0 휘발유 -2.6% 급락 영향
신차 ▼ -0.3 수요 둔화와 재고 요인
중고차 ▼ -0.5 3개월 연속 하락세
의류 ▼ -0.4 소비 심리 위축 반영
의료용품 ▲ 0.6 전월보다 상승폭 확대
주거비(shelter) ▲ 0.3 상승세 유지(CPI 기여도 50% 이상)
운송서비스 ▼ -0.2 항공료 하락 영향
의료서비스 ▲ 0.2 상승세 둔화
 

💹 금융시장 반응 요약

  • 채권 금리 하락: 미 10년물 국채금리 4.41%(▼0.06p), 2년물 3.94%(▼0.08p)
  • 주가 혼조세: S&P500 발표 직후 상승 → 차익실현 및 지정학 리스크로 하락 전환
  • 달러 약세: 달러지수(DXY) 99.10 → 98.68 (▼0.4%)
  • 환율 반응: 원/달러 NDF는 1,363.3 → 1,367.6으로 원화 약세

📍 특히 미국-이란 간 지정학적 긴장과 미중 무역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 혼조 요인으로 작용

🏦 주요 투자은행 코멘트 정리

기관 평가 요약
Bank of America 임대료·OER 둔화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완화에 기여
Morgan Stanley 관세 영향 미반영 속 서비스물가 둔화 → 금리인하 기대 증가
CITI 주거비 둔화, 관세 효과는 향후 반영될 가능성
JPMorgan 핵심 서비스 물가 둔화로 인플레이션 경직성 약화 확인
TD 관세 효과는 ‘폭풍 전의 고요’, 6~7월 본격 반영될 전망
Nomura 기업 재고 감소 시 인플레이션 압력 확대 가능성 지적
WSJ 관세 유예 종료 이후 인플레 반등 가능성 여전히 존재
Bloomberg 내구재 가격 하락이 관세 인상 효과 상쇄 중, 향후 불확실성 주시 필요

 

📈 향후 전망 및 국제경제적 시사점

  • 인플레이션 둔화는 분명하지만…관세 리스크는 지속
    • 기업 재고가 소진될 경우 가격 전가 가능성 확대
    • 7~8월 관세 유예 종료 이후 물가 반등 가능성 경계 필요
  •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 Fed Funds Futures 기준 9월 금리 인하 확률 64.7%
    • 연준은 아직 확정적이지 않으며 “기다려보자(wait-and-see)” 전략 유지 가능성
  • 국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
    • 지정학적 긴장(중동, 중국)과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의 영향 지속
    •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무역정책이 인플레이션 결정요인으로 부상

2025.06.11 - [국제 정보] - [ECB 기준금리 25bp 인하] 2025년 유럽 물가와 성장률 전망 하향… 무역갈등 속 금리 방향은?

 

[ECB 기준금리 25bp 인하] 2025년 유럽 물가와 성장률 전망 하향… 무역갈등 속 금리 방향은?

2025년 6월 5일, 유럽중앙은행(ECB)은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하며, 유럽 경제의 변화된 국면을 반영한 통화정책 전환을 단행했습니다. 글로벌 무역갈등의 고조, 에너지 가격 하락, 유로화 강세 등 복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09 - [국제 정보] - 🌐 2025년 5월 미국 고용지표 분석: 제조업 감소와 이민 제한 속 노동시장 진단과 금리 전망

 

🌐 2025년 5월 미국 고용지표 분석: 제조업 감소와 이민 제한 속 노동시장 진단과 금리 전망

2025년 6월,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발표한 5월 미국 고용지표에 따르면, 시장의 둔화 우려와 달리 전반적인 노동시장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세부 지표에서는 제조업 고용 감소,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6.05 - [국제 정보] - [2025년 5월 미 연준 베이지북 해석] 미국 경제 둔화와 금리 전망,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2025년 5월 미 연준 베이지북 해석] 미국 경제 둔화와 금리 전망,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2025년 6월 4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최신 **베이지북(2025년 5월 기준)**을 발표하며, 미국 내 12개 연방준비은행 지역의 경제 동향을 총괄적으로 공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6월 17~18일 개

ehrgkrpgkwk88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