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 정보

2025년 하반기 유로지역 경제전망: 성장률, 물가, 고용, 재정 이슈 및 리스크 요인 분석

by 독학게하자 2025. 7. 11.
반응형

2025년 하반기 유로지역 경제는 금리 인하의 완화적 효과와 고용시장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관세정책과 지정학적 리스크, 수출 둔화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본 글은 프랑크푸르트사무소 보고서(2025.7)를 기반으로, 유로지역의 경제 전망을 성장률, 물가, 고용, 재정, 리스크 요인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한 국제경제 정보 블로그입니다.

🔷 1. 유로지역 GDP 성장률: 2025년 0.9%, 2026년 1.2% 전망

  • 2025년 상반기 GDP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6%를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하반기에는 미국의 보편관세(10%) 부과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전년과 유사한 0.9% 수준으로 둔화 전망
  • 2026년에는 독일을 중심으로 국방비 및 인프라 투자 확대가 본격화되면서 1.2%로 소폭 반등 예상

📌 IMF, ECB, EU 집행위 등 주요 기관 모두 공통적으로 성장률 하향 조정 (기존 1.3% → 0.9%)

🔷 2. 유로지역 물가전망: 에너지·서비스 가격 하락으로 둔화세 지속

  • 2025년 하반기 HICP 상승률2% 미만, 2026년 1분기에는 1.4% 내외까지 하락 예상
  • 근원물가 또한 동조화되며 24.12월 +2.7% → 25.6월 +2.3%로 하락
  • 주요 원인:
    • 유가 및 천연가스 하락 (브렌트유 $74.6 → $63.9 → $67.6)
    • 서비스 물가 상승률 둔화 (임금 상승률 둔화)
    • 유로화 강세 → 수입물가 하락 → 인플레이션 하방 압력

🔍 2027년 초에야 다시 ECB 목표치(2%) 수준으로 복귀 예상

🔷 3. 고용시장 전망: 실업률 역대 최저, 하지만 채용 수요 둔화

  • 2025년 실업률 전망: 6.3% (2024년 6.4% 대비 개선)
  • 청년 실업률도 25.4월 기준 14.3%로 사상 최저
  • 취업자 수: 25.1분기 1억 7,160만 명 기록
  • 그러나 **일자리 공석률(Job Vacancy Rate)**은 하락세 → 노동시장 타이트함 완화

🛠 산업별 고용 변화

  • 서비스업: 디지털・전문기술 중심 수요는 유지되나, 고용 증가세 점진적 둔화
  • 건설업: 주택시장 회복으로 개선
  • 제조업: 고용부진 일부 완화

📉 2025년 취업자 수 증가율: 0.6% (2024년 1.0% 대비 하락)

🔷 4. 민간소비 및 투자 전망: 가처분소득 정체 속 점진적 회복세

  •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율: 2024년 +2.2% → 2025년 +0.8% → 2026년 +1.0%
  • **저축률 감소(15.0% → 14.1%)**로 소비 지출 전환 가능성
  • 민간소비 증가율: 25~27년 연평균 +1.2% 예상

🏗 투자 부문 전망

  • 설비투자: 2025년에는 불확실성으로 위축되나, 2026년에는 회복 전환
  • 건설투자: 주택시장 회복에 따라 완만한 반등 예상
  • 수출 증가율: 미·중 성장 둔화, 유로화 강세로 인해 역사 평균(3.4%) 하회 지속

🔷 5. 유로지역 재정 전망: 확장적 지출 지속, 정부부채 90% 돌파

  • 재정적자 비율(GDP 대비):
    • 2024년 3.1% → 2025년 3.2% → 2026년 3.3%
  • 정부부채 비율(GDP 대비):
    • 2024년 88.9% → 2025년 89.9% → 2026년 91.0%

📌 독일은 인프라 투자 기금 5천억 유로 조성 및 방위비 지출 확대로 중심 역할
📌 NATO는 2035년까지 GDP의 5% 수준으로 방위비 확대 요구 (25.6월 발표)

🔷 6. 리스크 요인 정리: 성장과 물가 모두 불확실성 속 상하방 요인 혼재

📉 성장 관련 하방 요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 중동 분쟁 재발
  •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 지속
  •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 → 자금조달 비용 상승

📈 물가 관련 상·하방 리스크

  • 하방: 수요 부진, 유로화 강세, 중국산 제품 수입 증가
  • 상방: 에너지 공급 불안, 운송비 상승, 기상이변에 따른 식품가격 상승

✅ 마무리 요약

항목 2025년 전망 2026년 전망
GDP 성장률 약 0.9% 약 1.2%
소비자물가(HICP) 2% 미만 → 1.4% 내외 저점 도달 점진적 반등 → 2% 근접 예상
실업률 6.3% (역대 최저) 추가 하락 가능성
재정적자 비율 3.2% (GDP 대비) 3.3% (소폭 상승)
정부부채 비율 89.9% → 91.0% (증가세 지속) -
리스크 요인 무역갈등, 지정학 충돌, 에너지 가격 불안 글로벌 수요 회복 여부가 관건

 

💬 향후 유럽 경제의 흐름은 미국 대선, 중국 경기둔화, 에너지 공급망 변화 등 국제정세에 크게 좌우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유로지역의 통화정책과 재정 운영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5.07.07 - [국제 정보] - 2025 미국 연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분석: 22개 대형은행 위기에도 자본건전성 입증

 

2025 미국 연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분석: 22개 대형은행 위기에도 자본건전성 입증

🌍 [국제 경제 정보] 2025 미국 연준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상세 분석22개 대형은행 모두 위기 시나리오 하에서도 자본건전성 유지2025년 6월 27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이하 연준)는 총 2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7.04 - [국제 정보] - 🎯 [2025 중국 경제동향] 6월 제조업 PMI 상승…소기업 침체와 고용불안 여전

 

🎯 [2025 중국 경제동향] 6월 제조업 PMI 상승…소기업 침체와 고용불안 여전

2025년 6월, 중국 경제를 진단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인 제조업 PMI가 소폭 상승하며 경기 회복 기대를 키웠습니다. 그러나 소기업 경기와 고용지표의 동반 약세는 중국 내 경제 불균형이 지속되고

ehrgkrpgkwk888.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