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한국·일본 등 12개국 대상 상호관세 25% 부과 서한 발송
2025년 7월 7일, 미국 정부는 한국, 일본 등 12개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상호관세 25%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 공식 서한을 전달했습니다.
이는 지난 4월 2일 ‘Liberation Day’에 발표된 관세율과 동일하며, 유예되었던 고율관세가 실제로 발효될 수 있다는 강경 메시지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모든 동맹국에 예외 없이 적용될 예정이며, 보복 조치가 있을 경우 추가 25% 관세도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일본은 7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어 정치적으로도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입니다.
🌐 국가별 상호관세율 비교 (2025년 7월 기준)
국가 | 4월 2일 발표 | 7월 7일 발표 |
한국 🇰🇷 | 25% | 25% |
일본 🇯🇵 | 24% | 25% |
라오스 | 48% | 40% |
방글라데시 | 37% | 35% |
캄보디아 | 49% | 36% |
인도네시아 🇮🇩 | 32% | 32% |
보스니아 | 35% | 30% |
말레이시아 🇲🇾 | - | 25% |
※ 자료 출처: Bloomberg (2025.7.7)
📉 글로벌 금융시장 반응 – 금리·환율·주가에 미친 영향
관세 발표 직후, 시장은 즉각 반응했습니다.
▪️ 주요 금융지표 변화
지표 | 7월 4일 | 7월 7일 | 변화폭 |
미국채 10년물 금리 | 4.35% | 4.39% | ▲ 0.04%p |
미국 S&P500 지수 | 6,279.4 | 6,218.8 | ▼ 1.0% |
다우존스 지수 | 44,828.5 | 44,301.9 | ▼ 1.2% |
달러인덱스(DXY) | 97.18 | 97.48 | ▲ 0.3% |
원/달러 환율 | 1,360.2 | 1,372.7 | ▼ 원화 약세 |
엔/달러 환율 | 144.47 | 146.11 | ▼ 엔화 약세 |
📌 요약
- 달러화 강세, 원화·엔화 약세
- 주가 하락, 미국 국채 금리 상승
-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 약화 (9월 인하 확률: 72.8% → 69.0%)
💬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의 분석
💼 JP Morgan
“예외 없는 강경 조치로 시장에 압박. 한국·일본은 중국·EU 다음의 핵심 무역국으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파급력 높음.”
💼 TD
“이번 조치는 과거 관세로의 회귀를 의미. 일본 선거 전 타이밍은 정치적 의도 내포.”
💼 BNP Paribas
“실효 관세율 14.6% → 15.5% 상승.
관세 협상은 장기화될 가능성 높아졌으며 인플레이션 상방 리스크 존재.”
💼 Wells Fargo
“한국과 일본 모두 연간 성장률 0.5~1% 수준으로 하락 가능성.
그러나 한국은 미국 통화정책과의 연계성과 회복 탄력성이 상대적으로 우수.”
📈 인플레이션 및 무역경로에 미치는 영향
📌 인플레이션 정점 시기 지연
- 기존 예상: 2025년 말
- 새롭게 예상되는 정점: 2026년 초
- 이유: 관세 부과의 실효 시점(4월)으로부터 2~4개월 후 인플레이션 반영되기 때문
📌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 직접 영향: 대미 수출 감소에 따른 GDP 하락 압력
- 간접 영향: 글로벌 교역 위축, 기업 투자 심리 악화, 고용 부진 등
- 산업별 타격: 자동차·철강 등 고관세 민감 품목 노출도 높아 산업별 대응 전략 필요
🔍 결론: “강경한 무역압박 속 유예기간 내 협상 여지 존재”
2025년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는 동맹국을 포함한 전방위적 압박 전략으로, 글로벌 무역 질서에 구조적 변화를 예고하는 사건입니다.
그러나 8월 1일 발효까지 유예기간이 존재하고, 과거 트럼프 정부가 보여온 선 강경 후 유화(TACO 전략) 패턴을 고려할 때, 외교적 협상 타결 가능성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 요약 포인트 정리
- 🇺🇸 미국, 한국·일본 등 12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 서한 발송
- 📉 글로벌 금융시장, 달러 강세·금리 상승·주가 하락으로 반응
- 🔥 관세 협상 장기화로 인플레이션 정점 시기 지연 가능성
- 🇰🇷 한국, 산업별 수출 비중과 무역 구조 특성상 경제 성장 하방 압력 존재
- 📆 유예기간(8.1일까지) 내 외교적 협상 필요성과 기회 공존
2025.07.07 - [국제 정보] - 🌍 2025 ECB 통화정책전략 재검토 발표: 고물가 시대 유럽의 기준금리 방향은?
🌍 2025 ECB 통화정책전략 재검토 발표: 고물가 시대 유럽의 기준금리 방향은?
2025년 6월 30일, 유럽중앙은행(ECB)은 4년 만에 통화정책전략 재검토 결과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유럽 경제는 팬데믹 이후 고물가와 구조적 변화 속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번 전략 재정비
ehrgkrpgkwk888.tistory.com
2025.07.08 - [여행기] - 《여름 휴가 추천! 행정안전부 선정 여름철 찾기 좋은 온천 10곳 총정리》
《여름 휴가 추천! 행정안전부 선정 여름철 찾기 좋은 온천 10곳 총정리》
더운 여름, 어디로 떠날지 고민되시나요? 단순한 계곡, 북적이는 해수욕장은 이제 식상하다는 분들을 위해 색다른 여름 휴가지를 소개합니다.바로 온천과 물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전국의 여
ehrgkrpgkwk888.tistory.com
'국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영국 복지예산 철회 파장: 재정위기 신호인가? 국채금리·파운드화 전망 총정리 (7) | 2025.07.14 |
---|---|
2025년 미국경제 최신 분석: 금리인하 기대 속 소비 둔화와 고용 회복 동향 (2) | 2025.07.13 |
2025년 하반기 유로지역 경제전망: 성장률, 물가, 고용, 재정 이슈 및 리스크 요인 분석 (6) | 2025.07.11 |
2025년 홍콩통화청의 미달러 매도 개입 배경과 환율 정책 분석: 금리차와 캐리트레이드의 영향 (4) | 2025.07.10 |
🌍 2025 ECB 통화정책전략 재검토 발표: 고물가 시대 유럽의 기준금리 방향은? (2) | 2025.07.09 |